K-패스 대중교통을 이용하면 필수라고?
곧 발급하기 시작할 K-패스, 주변에서 교통수단을 이용하는데 왜 안쓰냐고 성화인데요. K-패스가 도대체 뭐인지 어디에서 발급받는게 제일 좋은지 하나하나 살펴보도록 합시다.
K-패스 너 도대체 뭔데?
K-패스는 월 15회 이상 정기적으로 대중교통(시내·마을버스, 지하철, 광역버스, GTX 대상)을 이용할 경우 지출금액의 일정비율을 다음 달에 돌려받을 수 있는 교통카드로 내달 1일 출시한다고 합니다. 알고보니 제가 사용하던 알뜰교통카드의 다음 버전이라고 하더라구요. 알뜰교통카드를 이용하고 계셨던 분들은 K-패스로 전환하지 않는다면 더이상 이용하지 못하고 다시 발급 받아야 한다는 것.
환급 비율 기준 |
|
일반인 | 20%, |
청년층 | 30% |
저소득층 | 53% |
경기패스 인천I패스와 비교해보면?
K-패스 | The 경기패스 | 인천 I패스 | |
환급 횟수 | 60회 | 무제한 | 무제한 |
청년환급 대상나이 | 19~34세 | 19~39세 | 19~ 39세 |
65세 이상 30% 환급여부 | x | x | o |
K-패스의 경우엔 환급 횟수의 제한과 청년 환급 나이가 34세인것에 반해서 THE 경기패스와 인천I패스의 경우 환급 대상나이가 높고 인천의 경우엔 65세이상 30%환급 여부까지 적용되기때문에 경기도와 인천에 사시는 분의 경우엔 각 지역의 교통패스를 사용하시는 것이 훨씬 이득인것으로 보입니다.
K-패스 발급 가능 카드사
국민, 농협, BC, 삼성, 신한, 우리, 하나, 현대카드와 DGB유페이, 이동의 즐거움등에서 발급 가능합니다. 카드는 모두 5월 1일부터 발급이 가능하기때문에 현재는 둘러보기 밖에 되지 않는데요. 카드사를 모두 모아둔 K-PASS 누리집 홈페이지를 밑에 연결해두겠습니다.
또한 각 카드사별 이용 교통비 할인 비율이 다르기때문에 잘 확인하고 만드셔야 합니다. 예를들어 신용카드 기준으로 신한카드는 해외이용 가능 카드의 경우 연회비가 15,000원이고 교통비 할인이 10%(월한도 1~3만원) 적용됩니다. 하나카드의 경우 국내/해외 겸용 카드이며 연회비가 17,000원이고 교통비 할인이 20%(월한도 15,000원)로 적용되는등 각 카드사별로 교통비할인 그리고 월 할인 한도가 다르기때문에 혜택을 잘 확인하고 만드시길 바랍니다.
알뜰교통카드를 만들었던 저의 견해로 말씀드리자면 신용카드의 경우 원래 이용하고 있던 카드가 혜택이 좋았기때문에 교통수단용 카드는 연회비가 없는 체크 카드를 찾아 만들었던 기억이 있습니다. 이렇듯 신용카드의 경우 카드사의 다른 혜택도 이용하신다면 만들고 그렇지 않다면 연회비가 없는 체크카드를 만드는 것이 더 이득일 수도 있습니다.
'금융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 투자증권 해외거래서비스 최초 신청시 30$ 지원?! (1) | 2024.04.25 |
---|---|
달러 환율이 올라가면 어떤 영향을 끼치나? 달러 장중 1,400원 돌파 (0) | 2024.04.17 |
홍콩의 비트코인 이더리움 EFT 승인가능성, 중국 암호화폐 규제와 대비돼 (1) | 2024.04.14 |
인천 청년을 위한 드림For 청년통장 지원자격부터 신청방법까지 (0) | 2024.04.07 |
곧 종료되는 네이버 신한카드를 뒤이을 카드 추천?! 카드 유목민 다 모여라 (1) | 2024.04.01 |
댓글